L3Harris 사는 미 해군과 호주 해군에서 사용되는 MK 234 Nulka 능동형 오프보드 디코이 시스템의 차세대 전자전 탑재체를 공급한다.
Nulka는 소모성 소프트 킬 대응책이며 레이다 유도 대함 미사일의 종단에서 이 미사일을 유인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약 1억 2천만 달러의 NAVSEA(Naval Sea Systems Command)와의 계약 하에, L3Harris는 ADAP(Advanced Decoy Architecture Program) 탑재체를 공급하며 미 해군과 호주 해군의 요구를 충족시킬 것이다.
원래 Nulka 전자 디코이 카트리지는 호주 BAE Systems사에서 만든 호버링 로켓 탑재체 캐리어와 결합되며 큰 배와 유사한 레이다 단면적을 만들어내어 RF 호밍 대함 미사일을 유인하는 광대역 RF 리피터가 장착되며 이는 Lockheed Martin에서 생산한다.
미 해군에서 Nulka는 MK 53 발사 시스템에서 발사된다.
ADAP는 발전된 대함 미사일 위협에 대항하기 위한 개선된 Nulka 디코이를 배치하기 위해 신속한 배치 능력으로서 미 해군에서 시작한 탑재체 업그레이드 노력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ADAP는 발전된 송신기와 신호 처리 능력을 결합함으로써 현재의 Nulka 디코이가 대응하지 못하는 위협을 대상으로 한다.
2015년 9월 L3Harris는 ADAP 탑재체 개발을 위한 3년의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ONR(Office of Naval Research)의 E-Nulka 프로그램 하에서 미 해군 연구소(NRL, Naval Research Laboratory)에 의해 수행된 초기의 연구와 엔지니어링 개발을 활용한다.
출처 : JANES
'Electronic Warfare > EW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 공군은 수 백대의 제트 훈련기를 원하고 있다. - 2021.10.15 (4) | 2021.10.19 |
---|---|
Raytheon사의 새로운 중거리 레이다 시스템 - 2021.10.11 (3) | 2021.10.16 |
초기 생산에 진입한 AOEW - 2021.10.04 (2) | 2021.10.12 |
EA-18G 비교를 통한 중국 J-16D 전자전 항공기 예측 (2) | 2021.10.08 |
미 공군에서 계획하고 있는 KAIJU 프로젝트 - 인공지능/머신러닝 전자전 기술 (0) | 2021.10.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