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lectronic Warfare/Airborne EW32 반응형 GlobalEye 조기 경보 및 통제 항공기 다음은 SAAB사의 조기 경보 통제 항공기인 GlobalEye의 주 임무 레이다 및 자체보호 시스템에 대해 알아본다. GlobalEye AEW&C 항공기 일반GlobalEye 공중 조기 경보 및 통제 항공기는 SAAB사에서 개발한 다목적 공중 감시 시스템이다. 이 항공기는 공중과 해상, 그리고 지상에 대한 감시가 가능하다. SAAB사는 2015년 11월 12억 7천 달러로 UAE와 계약하여 Global 6000 항공기를 기반으로 SAAB사의 Erieye 레이다 시스템의 새로운 제품을 통합한 새로운 공중 swiing role 감시 시스템 (SRSS, Swing Role Surveillance System)을 공급하게 되었다. [ GlobalEye 제품군 ]GlobalEye AEW&C 플랫폼은 고객의 .. 2024. 7. 22. 22:27 오늘날의 러시아 공중 EW가 부족한 이유 다음의 글은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의 공중 자산들이 많이 격추되었으며 그 이유가 공중 플랫폼에 탑재된 전자전 시스템의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평가한 기사이다. 개 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 공중 전투에 있어서 러시아의 전투기 손실이 증가했다는 내용은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가장 최근의 소식은 2022년 침공이 시작된 이후 2년의 시간이 지난 2024년 2월 말에 있었다. 이번 주, 우크라이나의 공중 방어 부대는 11대의 최신 항공기를 격추하였다. 여기에는 8대의 Sukhoi사 Su-34 전폭기와 2대의 Su-35S 4세대 전투기, 그리고 다른 한 대는 A-50U 공중 조기 경보기 항공기이다. A-50U 항공기는 러시아 공군인 VKS 소속의 최신 모델이며 매우 고가이고 현재는 이 .. 2024. 5. 22. 21:53 생존전략 - 유럽 회전익 항공기의 자체 보호 시스템 (2) 유럽의 헬리콥터와 같은 회전익 항공기의 자체보호 시스템의 발전 방향과 각 나라 별 기업의 자체보호 시스템을 소개한 글입니다. 2부에는 유럽 각 국의 대표적인 방산업체에서 개발하고 있는 회전익 항공기 자체보호 시스템에 대한 내용입니다. HEWS Turkish 기업체인 ASELSAN은 회전익을 위한 통합 DAS로서 그들의 헬리콥터 전자전 시스템 (HEWS, Helicopter Electronic Warfare System)을 개발하였다. 중앙 처리 시스템을 통해 통합되는 HEWS는 레이다 경보와 미사일 경보, 레이저 경보, RF 재밍, IR 재밍, 그리고 Chaff/Flare 발사 기능을 제공한다. RWR의 특징은 디지털 수신기로서 협대역과 광대역에서 동작하며 옵션 기능으로 위협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g.. 2023. 8. 12. 13:05 생존전략 - 유럽 회전익 항공기의 자체 보호 시스템 (1) 유럽의 헬리콥터와 같은 회전익 항공기의 자체보호 시스템의 발전 방향과 각 나라 별 기업의 자체보호 시스템을 소개한 글입니다. 1부에는 유럽 회전익 항공기 자체보호 시스템의 발전 방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개 요 한국전쟁은 헬리콥터가 대규모로 활용된 첫 번째 전쟁이었으며 주로 의료/구조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로부터 70년 동안 회전익은 정찰, 전술 항공 이동, 물류 지원, 대전차, 그리고 무장 호위등 전장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헬리콥터는 또한 바다에서 대잠수함 전, 대수상전, 그리고 연안 리프트와 강습과 같은 임무를 수행하면서 중요한 틈새시장을 개척해 왔다. 오늘날 유럽군은 지상과 연안, 해상에서의 작전을 위해 계속해서 회전익 항공기에 투자를 하고 있다. 예를 들면, 2021년 12월 프랑스는 .. 2023. 8. 11. 16:10 전투기 전자전 시스템 분석 - M-346 M-346 항공기의 전자전 시스템에 대해 알아본다. M-346 항공기는 고등훈련과 전투기 입문을 위한 훈련기이며 이탈리아의 Finmeccania 그룹의 Alenia Aermacchi사에서 개발하였다. 우리에게는 고등훈련기 시장에서 KAI의 T-50에 가장 강력한 경쟁기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 아랍에미리에이트와 이스라엘 등에서 T-50을 이기고 훈련기로 채택되었었고 세계 각국에서 운용되고 있는 항공기이다. M-346 항공기는 교관이 탑승하는 뒷 자석이 훈련생이 타는 앞좌석보다 높게 설계되어 있어서 교관이 훈련생이 조작하는 모습을 확인하기가 용이하며 그렇지 못한 T-50보다 훈련기로써 우수한 면이 있다는 평을 받는다. 또한, 조종석에 3개의 MFD를 적용하고 있으며 이 역시 2개의 MFD를 적용하고 있는.. 2022. 8. 6. 20:00 Mig-29 와 F-16 RWR 디스플레이 비교 - 2부 1부에서는 러시아 Mig-29 전투기의 조종석에 있는 RWR 디스플레이에 대해 알아봤다. Mig-29 와 F-16 RWR 디스플레이 비교 - 1부 러시아의 대표적인 전투기 Mig-29의 조종석에 있는 RWR 디스플레이와 미국의 대표적인 베스트셀러 전투기인 F-16의 조종석에 있는 RWR 디스플레이 비교를 통해 당시 RWR에는 어떤 기능들이 있었는지 superhky.tistory.com 이와 비교를 위해 유사한 시기에 개발된 미국의 F-16 전투기 초기 버전에 적용된 RWR 디스플레이와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다. 위의 그림처럼 F-16 전투기는 조종석 상방 좌측에 RWR 전용 디스플레이가 적용되어 있다. 1부에서 얘기한 Mig-29 전투기의 조종석에는 우측 하방에 RWR 디스플레이가 있었는데 이 보다는 조종.. 2022. 2. 17. 19:45 Mig-29 와 F-16 RWR 디스플레이 비교 - 1부 러시아의 대표적인 전투기 Mig-29의 조종석에 있는 RWR 디스플레이와 미국의 대표적인 베스트셀러 전투기인 F-16의 조종석에 있는 RWR 디스플레이 비교를 통해 당시 RWR에는 어떤 기능들이 있었는지 비교해 보겠다. 이 두 기종은 개발된 시기가 비슷하면서 각각 미국과 러시아를 대표하는 전투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전투기에 적용되어 있는 RWR 디스플레이를 보면 당시 각 나라가 전자전에 대해 어떤 개념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간략히 나마 알아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Mig-29 RWR 디스플레이] 위의 그림은 Mig-29의 조종석과 RWR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보여준다. Mig-29 전투기는 다양한 파생형이 있으며 여기서 얘기하는 RWR 장비나 디스플레이는 아마도 Mig-27 부터 Mig-29의 초.. 2022. 2. 14. 23:05 말레이시아 경전투기 사업 경쟁 기종 전자전 시스템 분석 (2편) - Tejas 말레이시아 경전투기 사업의 후보 기종 중에서 우리나라의 FA-50과 경쟁하는 전투기의 전자전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고 있다. 지난번 파키스탄의 JF-17에 이어 두 번째로 알아볼 전투기는 Tejas이다. JF-17에 대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에 있다. 말레이시아 경전투기 사업 경쟁 기종 전자전 시스템 분석 (1편) - JF-17 Thunder 이번에 살펴볼 전투기는 파키스탄의 JF-17 Thunder이다. JF-17은 최근 말레이시아의 경전투기(Light Combat Aircraft) 도입 사업에 우리나라 FA-50의 강력한 경쟁 기종이다. 과연 JF-17이 적용하고 있는 전자전 superhky.tistory.com Tejas 전투기에 대해 찾아보면서 의외로 정보가 많이 없는 것이 의아했다. FA-50에 대.. 2021. 9. 25. 16:05 말레이시아 경전투기 사업 경쟁 기종 전자전 시스템 분석 (1편) - JF-17 Thunder 이번에 살펴볼 전투기는 파키스탄의 JF-17 Thunder이다. JF-17은 최근 말레이시아의 경전투기(Light Combat Aircraft) 도입 사업에 우리나라 FA-50의 강력한 경쟁 기종이다. 과연 JF-17이 적용하고 있는 전자전 능력이 FA-50 대비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여기서 나오는 내용은 모두 인터넷 상에서 얻은 정보와 순전히 개인의 의견을 정리한 것임을 미리 말해둔다. JF-17 전투기는 파키스탄의 Aeronautical Complex(PAC)와 중국의 Chengdu Aircraft Corporation(CAC)가 합작으로 만들었다. 그래서 중국 이름으로는 FC-1 Xiaolong로 불린다. JF-17 자체 보호를 위한 전자전 시스템으로는 RWR과 CMDS 그리고 포드형 R.. 2021. 8. 5. 15:20 전투기 전자전 시스템 분석 – F-35 (3) 3부에서는 2부까지 알아본 AN/ASQ-239 전자전 시스템과 함께 F-35의 데이터 퓨전을 위한 핵심 센서인 레이다와 EOTS 그리고 EO DAS 및 MADL에 대해 알아보겠다. 먼저 F-35의 전방 주 세선인 레이다는 Nothrop Grumman사의 AN/APG-81이며 AESA 레이다이다. 워낙 이 레이다에 대한 내용은 알려진 사실이 거기서 거기기 때문에 여기서 알아본 내용도 아마 크게 새로운 내용은 없을 수 있다. AN/APG-81 레이다는 F-22에 탑재된 AN/APG-77 AESA 레이다부터 F-16 Block 60의 AN/APG-80을 거치면서 발전하고 좀 더 복잡한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고 한다. 이 레이다의 구성은 아래의 그림에서 엿볼 수 있다. AN/APG-81 레이다는 다기능 어레이(M.. 2021. 3. 7. 20:30 전투기 전자전 시스템 분석 – F-35 (2) 2부에서는 F-35 전투기의 countermeasure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다. Countermeasure는 RFCM(RF Countermeasure)과 IRCM(IR Countermeasure)으로 나뉘는데 먼저 F-35의 전자전 시스템인 AN/ASQ-239의 RFCM에 대해 알아보겠다. RFCM은 chaff부터 외장형 RF재머, 내장형 RF재머, AESA 레이다를 이용한 재머, 발사형 active 재머, 견인식 디코이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각 CM에 대한 설명과 비교는 아래 글을 참고하길 바란다. Electronic Countermeasure 장단점 (1) 레이다는 뛰어난 상황인지 능력과 무기를 가이드 하는 기능으로 인해 전투에 활용되었다. 이후 이 레이다로부터 회피하기 위해 스텔스 기법과 같은 수.. 2021. 2. 28. 18:51 전투기 전자전 시스템 분석 – F-35 (1) 이번에는 F-35 전투기의 전자전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겠다. F-35는 1993년 JSF(Joint Strike Fighter) 프로그램으로 개발이 시작되었다. Lockheed Martin사와 Boeing사는 미 정부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기술실증기를 만들어 서로 경쟁하었으며 2001년 이 경쟁에서 최종적으로 Lockheed Martin사의 X-35가 이김으로써 본격적으로 F-35는 개발에 착수하게 된다. 많이 알려져있다시피, F-35는 공군과 육군, 해군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체적인 기체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각 군의 상이한 요구사항과 운용환경적 차이로 인해 기체는 약간씩 다르다. 그러나, F-35에 적용되는 임무시스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동일하다고 한다. F-3.. 2021. 2. 14. 19:04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