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lectronic Warfare/Airborne EW32

반응형
참조 그림 전투기 전자전 시스템 분석 – F-15QA (2) 2부에서는 F-15QA의 후방 RF Jammer와 미사일 경보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겠다. 아래의 그림처럼 F-15QA의 후방 RF Jammer는 후방동체의 가장 끝에 장착되어 있다. 전방의 RF Jammer와 동일하게 (아마도) horn 안테나와 MPM(Microwave Power Module) 방식의 고출력 증폭 송신기의 구성이며 안테나와 가장 근접한 곳에 고출력 송신기를 장착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장착 위치는 재머 빔의 간섭이 없는 좋은 위치이다. 다만, 엔진 노즐과 가깝기 때문에 엔진 불꽃에 의해 안테나 레이돔과 고출력 송신기를 내장하고 있는 구조에 높은 열이 가해질 수 있다. 아마도 이러한 고온에 대비하여 레이돔에는 고온에 강한 페인트가 적용되고 구조물에도 내부에 단열재가 포함되어 있을 것으.. 2021. 1. 10. 18:59
참조 그림 전투기 전자전 시스템 분석 – F-15QA (1) 이번에 알아볼 전자전 시스템은 F-15의 카타르 수출형인 F-15QA이다. F-15QA는 F-15의 다양한 수출 파생형 중 가장 최근의 수출형이며 최신의 전자전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다. 또한, 미국에서 F-35의 배치 지연으로 인한 공백을 메우기 위해 F-15 수명 연장을 진행 중인데 이때에 업그레이드되는 F-15EX는 F-15QA와 거의 유사하다고 한다. F-15 Eagle 전투기는 1970년대 첫 비행과 배치가 이루어졌으며 이후 스텔스 항공기가 개발되기 전까지 제공권 확보에 있어서 단연 최고의 전투기였다. 미국은 1970년대 배치된 전투기를 2040년도까지도 운용한다는 것만 봐서도 F-15는 정말 잘 만들어진 전투기라 할 수 있다. F-15를 운용하는 주요 국가는 일본(F-15J), 이스라엘(F-15.. 2021. 1. 2. 18:16
참조 그림 전투기 전자전 시스템 분석 - Su-57 PAK-FA (2) 2부에서는 101KS로 불리는 Su-57 전투기의 Electrical-Optical System에 대해 알아보겠다. 101KS는 총 6개의 구성으로 되어있다고 한다. 첫 번째는 N036UVS Computer and Processor이다. 이 시스템은 IMA-BK (Integrated Modular Avionics of Combat Systems)로 업그레이드되었다고 한다. 이 시스템의 역할은 각 센서에서 오는 신호를 integration 하여 하나의 심볼로 시현시켜 주며, 각종 항공전자 시스템 뿐만 아니라 무장 제어, 자체 보호 시스템을 제어한다고 한다. 두 번째는 101 KS-O 이다. 다음의 Cutaway 상에서는 31번 “IRST-Warnsensor”로 표현되어 있는 부분인데 이름 표현이 잘못되어 .. 2020. 11. 29. 13:37
참조 그림 전투기 전자전 시스템 분석 - Su-57 PAK-FA (1) 이번에 알아볼 전투기 전자전 시스템은 러시아의 Su-57 전투기이다. 러시아의 5세대 전투기 개발 프로그램인 PAK-FA를 통해 개발된 이 항공기는 처음에 수호이(Sukhoi) 사의 T-50으로 불리었으며 이후 공식 명칭이 Su-57이 되었다. Su-57 전투기의 자세한 개발 배경 및 제원은 다른 사이트나 블로그에 많이 나와 있으므로 참조하면 되겠다.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미국이나 서방 국가의 전투기가 아닌 러시아 전투기여서인지 Su-57의 전자전 시스템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 상에 많지 않았다. 찾아본 정보들은 대부분 유사한 수준의 비슷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하나의 센서를 두고 서로 다른 내용을 말하고 있는 부분도 적지 않았는데 그만큼 Su-57에 대한 정보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래도 여.. 2020. 11. 22. 14:34
참조 그림 전투기 전자전 시스템 분석 - Rafale (3) 3부에서는 라팔 전투기의 레이다와 전방에 있는 EO/IR 센서에 대해 알아보겠다. 아래의 그림에서 레이다는 2번 “GIE (Thomson-CSF/Dassault Electronique) RBE2 electronically scanned look-down/shoot-down multi mode radar scanner”이다. 이름은 electronically scanned 레이다로 되어 있으며 RBE2 레이다는 초기 라팔 전투기에 장착된 PESA(Pass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레이다이다. 이후, 레이다가 업그레이드되어 RBE2 AA 레이다가 장착되었으며 이는 AESA(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레이다이다. 아래는 RBE2 PESA.. 2020. 10. 2. 00:12
참조 그림 전투기 전자전 시스템 분석 - Rafale (2) 2부에서는 라팔(Rafale) 전투기의 Chaff/Flare Dispenser 시스템과 Laser Warning, Missile Warning에 대해 알아보겠다. 먼저 아래의 cutaway 상에서 Chaff/Flare Dispenser 관련 정보는 119번 “Chaff/decoy launcher” 하나만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라팔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위 방향으로 Flare를 발사하는 Dispenser 4통을 장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래 그림에는 라팔에서 사용하는 Flare 탄인 LIR-410 형상도 포함되어 있다. 보통 전투기는 Flare를 하방으로 발사하는데 반해 라팔 전투기는 위로만 발사한다. 항공기 상부가 적의 적외선 센서에 탐지되는 경우에는 효율적일 수 있으나 꼭 상부만 탐지되리.. 2020. 10. 1. 20:38
참조 그림 전투기 전자전 시스템 분석 - Rafale (1) 이번은 프랑스 전투기 라팔(Rafale)의 전자전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겠다. 라팔 전투기는 프랑스의 다소(Dassault) 항공에서 개발한 쌍발 엔진의 항공기이며, 이전에 살펴본 유로파이터나 JAS-39 GRIPEN 항공기처럼 델타익과 카나드 날개를 가지고 있다. 프랑스 공군과 해군 함재기형 종류가 생산되고 있으며 인도에 36대의 수출 계약을 맺고 첫 항공기를 2019년 9월에 인도하였다. 라팔 전투기의 전자전 시스템은 스펙트라(SPECTRA)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프랑스 탈레스사와 MBDA 사에서 공동 개발하였다고 한다. 의외로 이 스펙트라 시스템의 내부 관련 정보가 인터넷상에 많지 않아 정보를 모으는데 시간이 좀 걸렸고 결국은 자세한 부분까지 확인하는 것은 불가했다. 먼저 라팔의 cutaway는 아래의.. 2020. 10. 1. 20:27
참조 그림 전투기 전자전 시스템 분석 - JAS-39 Gripen (2) 2부에서는 Gripen E/F 버전 항공기의 업그레이드된 전자전 시스템과 그 밖의 업그레이드된 레이다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겠다. Gripen E/F 항공기의 전자전 안테나 위치는 C/D 버전과 동일하다. 그러나 기존 C/D 버전 항공기에서는 Amplitude Comparison 방식의 방향 탐지와 TWT 기반의 고출력 증폭기에서 증폭한 RF를 송출하는 방식의 ECM 시스템 구성이었다면, E/F 버전의 항공기에서는 질화갈륨(GaN, Gallium Nitride) 반도체를 이용한 전자식 스캔 배열 방식의 AESA 안테나를 구성함으로써 Interferometric 방향 탐지를 통한 정확도 향상과 높은 유효방사출력을 구현한 것으로 보인다.방향 탐지 기법에 대한 비교는 블로그의 EW Technology에 있는 A.. 2020. 9. 29. 19:53
참조 그림 전투기 전자전 시스템 분석 - JAS-39 Gripen (1) 이번에는 스웨덴 JAS-39 Gripen 항공기의 전자전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겠다. 개인적으로는 항공기 외형 디자인에 있어서 세 번째 손가락 안에 드는 비행기로 아주 좋아한다. 이 항공기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면, Gripen 항공기는 스웨덴 공군이 JA-37 비겐의 후속기로 개발한 차세대 전투기이다. 1994년부터 스웨덴 공군에 인도되기 시작했으며, 소형의 전투기이고 이착륙 성능이나 기동성 향상을 위해 꼬리 날개가 없고 델타익 형 주익에 카나드 날개를 조합한 형태가 특징이다. Gripen 항공기는 A형부터 F형에까지 있는데 A/B/C/D형까지는 전자전 시스템이 유사하고 E/F 형에서 좀 더 발전된 형태를 보인다. 인터넷상에서 cutaway는 C/D형 밖에 구할 수 없었고 이 cutaway에도 상세한 정보.. 2020. 9. 29. 19:48
참조 그림 전투기 전자전 시스템 분석 - Eurofighter Typhoon (3) 3부에서는 Eurofighter의 off-board ECM 장비인 chaff/Flare dispensing 시스템과 MAW(Missile Approach Warning) 시스템, LWS(Laser Warning System)에 대해 얘기해 보겠다. 먼저 Eurofighter의 chaff/flare dispensing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겠다. Eurofighter는 on-board ECM 장비로 주익 팁 Pod에 자체 보호 재머 시스템을 갖추고 있고 off-board ECM 장비로 TRD(Towed Radar Decoy)와 chaff/flare dispensing 시스템이 있다. TRD는 2부에서 알아봤으므로 chaff/flare dispensing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겠다. 아래의 Cutaway 상에서.. 2020. 9. 27. 10:58
참조 그림 전투기 전자전 시스템 분석 - Eurofighter Typhoon (2) 2부에서는 Eurofighter의 자체 보호를 위한 재머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겠다. Eurofighter는 on-board 재머 시스템과 off-board 재머 시스템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 먼저 on-borad 재머 시스템은 아래의 cutaway 상에서 125번 “Rear ECM/ESM antenna”, 129번 “Forward ECM/ESM antenna”이다. 1부에서 DASS 내부를 봤듯이 좌측(Port) 주익 팁에 있는 Pod의 앞쪽과 뒤쪽에 on-board ECM 장비인 재머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 전투기의 자체 보호 재머 시스템은 TWTA 고출력 증폭부와 horn 안테나 조합으로 구성된 시스템이 주를 이루다가 MPM 방식의 개선된 증폭부가 적용된 재머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EA-18G .. 2020. 9. 27. 10:49
참조 그림 전투기 전자전 시스템 분석 - Eurofighter Typhoon (1) 이번은 처음으로 유럽의 대표적인 전투기인 Eurofighter Typhoon의 전자전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겠다. Eurofighter는 유럽의 국가들(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그리고 스페인)이 컨소시엄을 이루어 개발된 항공기이며, 쌍발 엔진의 다목적 전투기이다. 우리나라의 차세대 전투기 도입 사업이었던 FX-3차에 후보 기종이기도 하였으나 아시다시피 최종 기종은 F-35가 되었다. (개인적으로는 국내 생산과 많은 기술이전을 기대할 수 있었던 Eurofighter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었는데…) Eurofighter의 외형상 특징은 카나드(Cardard)라는 보조날개이며 이를 통해 항공기는 양력을 증가시키고 기동성을 좋게 만들었다고 한다. 본격적으로 Eurofighter의 전자전 시스템에 대해 알아.. 2020. 9. 27. 1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