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공군 F-15E Strike Eagle의 새로운 전자전 시스템인 EPAWSS(Eagle Passive/Active Warning Survivability System)은 최근 대규모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실전 운용에 한걸음 더 가까워졌다고 한다.
F-15E의 EPAWSS는 최근 네바다 주 넬리스 공군기지에서 열린 LFTE(Large Force Test Event) 20.03이라는 주요 시험 중 우선순위가 높은 시험 항목이었다고 한다.
이 시험에는 EPAWSS를 장착한 F-15E 외에 F-35, F-22, F-16, A-10, E/A-18G, HH-60G, EC-130H, KC-46, KC-135의 9개 플랫폼도 참가하였다.
LFTE 20.03 은 전장 환경 속에서 새로운 전자전 시스템을 통해 공격 전술을 개선하고 Stand-off 재머 플랫폼과 전투기들 간의 상호 운용성을 최적화 하고 이를 검증하는 시험이었다.
또한, F-16의 AN/APG-83 AESA 레이다와 함께 EPAWSS는 이 시험에서 Prioritized test 항목으로 초첨이 맞춰져 있었으며 IRST와 같은 적의 수동 탐지 센서에 대응하는 전술도 검증 항목이었다고 한다.
아래의 그림에서 EPAWSS를 탑재한 F-15E가 KC-46 항공기로부터 공중급유를 받고 있으며, 꼬리 날개에 “OT”라고 적혀있으며 새로운 전자전 시스템에 대한 운용 시험 평가(Operational Testing and evaluation) 중임을 알 수 있다.
BAE Systems에서 개발한 EPAWSS는 F-15 전투기의 노후화된 AN/ALQ-135 TEWS(Tactical Electronic Warfare System)를 대체할 예정이다. 이는 F-15E Strike Eagle이 2040년까지 운용을 유지할 수 있는 중요한 한 부분이다.
현재의 F-15E TEWS는 1980년대의 레이다 기반 방공 시스템 환경에서 전투 작전을 위해 설계된 1970년대 아날로그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 F-15E 전투기가 직면할 수 있는 위협은 초장거리, AESA 기술 기반, 항재밍 기능, 그리고 높은 수준의 민첩성을 갖는 레이다 들이므로 노후화된 TEWS는 대체가 필요하다.
EPAWSS가 어떤 종류의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지는 당연히 비밀에 해당하지만 오늘날의 컴퓨팅과 수신기, 송신기 기술이 접목되어 빠르고 영리하게 위협에 대체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완전히 디지털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전 시스템보다 작고 빠르게 업데이트가 가능하며 유지 관리 부담이 적고 시스템 안정성이 높다고 한다.
F-15E는 EPAWSS 장착 외에 Raytheon사의 AN/APG-82 AESA 레이다 및 AN/ASQ-236 Gragon’s Eye로 불리는 레이다 포드도 업그레이드 된다.
2020년 4월는 미 공군 Edwards AFB에 있는 BAF(Benefield Anechoic Facility)에서 AN/APG-82 AESA 레이다 및 다른 항전 시스템과의 RF 호환성 시험을 수행했다고 한다. 이 시험은 각 시스템이 상호 간섭 영향 없이 운용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중요한 시험이다.
최신 정보에 의하면 IOT&E(Initial Operational Test and Evaluation)은 2023년 4월에 시작되고 1년 후 전체 양산 결정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한다.
최종적으로는 217대의 양산 F-15E 전투기가 EPAWSS를 탑재할 것이라고 한다.
'Electronic Warfare > EW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만 F-16 업그레이드 – 2020.12.06 (0) | 2020.12.13 |
---|---|
프랑스 해군의 새로운 해상 감시 항공기 – 2020.12.02 (0) | 2020.12.13 |
터키 아세산(Aselsan)사의 KORAL 이라는 새로운 지상 전자전 시스템 – 2020.11.18 (2) | 2020.11.22 |
레이시온사, 미 해병대 F/A-18 C/D 전투기용 새로운 AN/APG-79(V)4 AESA 레이다 16대 제공 – 2020.11.18 (0) | 2020.11.22 |
미 해군의 전자전 제트기 개발을 위한 선택 – 2020.11.16 (2) | 2020.1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