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데모 비행을 통해 5대의 F-35A 전투기와 한 대의 F-22 Raptor 전투기는 U-2S Dragon Lady 스파이 항공기에 탑재한 특별한 통신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각 비행기의 고유한 스텔스 데이터 링크 간 통신을 하였다.
미 공군의 두 스텔스 전투기가 비행 중에 자유롭게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었던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고 한다.
U-2는 또한 실시간으로 스텔스가 아닌 전투기 뿐만 아니라 지상 및 해상 자산과의 정보 공유를 하였다.
이 정보는 고 위험 능력 시연의 일환으로 지상 포병 및 해군 자산으로부터 공격을 시작시키는 데 사용되었다.
이 시연은 Hydra 프로젝트로 알려져 있으며 Lockheed Martin의 Skunk Works advanced 프로젝트 부서는 미 공군과 미사일 방어국(MDA, Missile Defense Agency)과 협력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미 육국과 해군도 참여하였다.
Hydra 프로젝트는 비행 중 5세대 비행기간 양방향 통신을 구축한 최초의 기록이며 또한, 운용과 센서 데이터를 지상국과 실시간으로 공유하였다.
이 차세대 연결은 데이터를 보고 결정을 하는데까지의 시간을 분단위에서 초단위로 줄일 수 있으며 오늘날의 적과 싸우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Skunk Works의 부사장 겸 총괄 매니저인 Jeff Babione은 얘기했다.
이 테스트 동안, F-35A와 F-22는 각자의 MADL(Multifunction Advanced Data Link)과 IFDL(Intra-Flight Data Link)를 통해 특정되지 않은 일련의 일들을 수행하였다.
여기에는 항공전자 장비나 조종석 디스플레이에 시현을 위해 표적의 추적 정보가 U-2를 통해서 전송되는 것을 포함한다.
JSF의 3가지 형상은 MADL을 사용하며 향후 B-21 Raider 스텔스 폭격기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반면에 IFDL은 F-22 Rator 전투기에 특화되어 있다.
MADL과 IFDL은 서로 다른 파형을 사용하므로 직접 호환되지 않는다.
그렇기때문에 U-2S가 “Open System Gateway” 또는 “OSG”로 불리는 Hydra 페이로드를 탑재하고 두 데이터 링크 간 번역기 역할을 수행하였다.
Hydra OSG의 핵심은 개방형 임무 시스템을 준수하는 EMC2(Enterprise Mission Computer2)이다.
이 EMC2는 향후 업그레이드 용이한 개방형 아키텍처를 갖는 임무 컴퓨터로 설계되었다.
MADL과 IFDL 시스템은 모두 저피탐(LPI/LPD) 시스템으로 설계되었으며 고지향성 통신 특성으로 적은 재밍을 하는 것이 극도로 어렵다.
F-35는 Link-16을 통해 F-22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지만 Link-16의 무지향성 통신 및 저피탐이 아닌 방식으로 인해 적에게 노출되기가 쉽다.
F-22 Raptor는 Link-16을 통해 정보를 보낼 수 없기때문에 어쨌든 이러한 통신 방식은 제한적이다.
그렇기때문에 gateway를 통한 두 항공기간의 상호 정보전달 기능은 미 공군의 수년 동안 추구해온 기능이다.
Hydra OSG는 또한 Link-16을 통한 정보 전송도 가능하므로 F-22와 F-35로부터의 획득 데이터를 4세대 전투기인 F-16C/D Viper, F-15E, F-15EX등과 공유가 가능하여 전장의 상황인식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Hydra OSG는 미 해군의 EA-18G Growler 전자전기에 적용되었고 BlcokIII F/A-18E/F Super Hornet에도 적용 예정인 TTNT(Tactical Targeting Network Terminal) 데이터 링크에도 사용된다.
특히, TTNT 링크는 U-2S의 통신장비가 미 육군의 IBCS(Integrated Battle Command System)의 한 부분인 Airborne Sensor Adaptation Kit(A-Kit)와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IBCS는 처음에 미 육군이 항공 및 미사일 방어 자산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였지만 점차 일반적인 네트워킹 기능을 수행하였다.
Hydra 프로젝트는 F-35의 센서 데이터를 U-2S가 텍사스에 있는 IBCS 전술 시스템 통합 랩(TSIL, Tactical System Integration Laboratory)에 전송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U-2의 가시거리 및 가시거리 넘어까지의 데이터 링크 능력을 통해서 이제 데이터는 전술적 사용자 간 직접 공유가 가능하고 CMCC(Common Mission Control Center)와 같은 광범위한 지휘 통제 노드에 공유가 가능하다.
이번의 데모 동안에 CMCC와 Nellis 공군 기지에 있는 Shadow Operation Center는 모두 센서와 플랫폼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 공중 자산의 지휘 통제를 위한 상황 인식 능력을 향상했다.
2015년에 Iguana 프로젝트로 불리는 데모의 일환으로 U-2S는 IFDL 데이터 링크를 탑재하고 F-22로부터 CMCC를 포함한 지상국뿐만 아니라 F/A-18 전투기로의 정보 전달 역할을 하였다.
이후 2017년에 알래스카에서 열리는 Northern Edge 훈련에서 U-2S는 통신 게이트웨이로서 공식 데뷔를 하였다.
Hunter 프로젝트로 불리는 데모에서 U-2S는 F-22의 게이트웨이 역할로서 참여하여 스텔스 항공기가 아닌 F-16C/D Viper로부터 Link-16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였다.
Dragon Lady는 또한 발사된 미사일에 새로운 표적 정보를 전달하는 노드 능력도 시현하였으며 AGM-158C LRASM(Long Range Anti Ship Missile)이 발사된 이후에 미사일에 재임무를 할당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이후 2019년에 Riot 프로젝트로 알려진 시험 동안에 U-2S는 통신 노드 역할을 하였으며 F-35A가 탐지한 대륙간 미사일 발사 정보를 CMCC에 전달하였다.
그리고 이 정보는 다른 미사일 방어 자산으로 전달되었다.
F-35가 보유한 DAS(Distributed Aperture System)가 대륙간 미사일 발사를 탐지하고 추적하는 기능은 이미 그 이전에 확인되었다.
Lockheed Martin과 Northrop Grumman, Honeywell은 U-2S와 별개로 IFDL과 MADL 데이터 링크 간의 통신이 가능한 여러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이 중 가장 최근의 프로그램은 gatewayONE으로 불리는 프로그램이며 미 공군의 ABMS ecosystem의 한 부분이기도 하다.
2020년 12월, 미 공군은 gatewayONE 장비를 스텔스 무인기 XQ-58A Valkyrie에 탑재하고 시험을 수행했다. 그러나 불행히도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F-22와 F-35A 간 정보 번역기 역할을 완벽히 수행하지 못했다. gatewayONE 시스템이 Hydra OSG와 얼마 큼의 연관관계가 있는지는 불확실하다.
Hydra 프로젝트는 U-2S를 이용하여 IFDL과 MADL 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 이상의 확장되고 강건한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동시에 광범위한 지역에서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비행 게이트웨이의 최종 형상이며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것은 방공망이 밀집해 있는 전투 지역에서 무인기들을 포함한 스텔스 항공기를 지원할 때에 매우 중요하게 된다.
U-2S Dragon Lady는 불행히도 이러한 환경에서 매우 취약하다.
이러한 역할은 RQ-180으로 불리는 스텔스 드론이 역할을 할 수도 있다.
Lockheed Martin이 Hydra 프로젝트에서 시현한 것은 특정 항공기에 탑재되는 것이 아닌 개방형 아키텍처의 임무 컴퓨터에 중점을 두고 있다.
U-2S나 특정 항공기에서만 동작되도록 설계한 것이 아니라 플랫폼에 구애받지 않는다.
Hydra 프로젝트의 성공은 F-35와 F-22 항공기간 스텔스 데이터 링크 연동의 중요한 이정표 이기도 하지만 육군뿐만 아니라 공군 간의 데이터 공유에 대한 앞으로의 혁신적인 비전을 제시한다.
출처 : The Warzone
'Electronic Warfare > EW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전 시험을 수행 중인 B-1B Lancer - 2021.05.28 (3) | 2021.06.07 |
---|---|
미 공군의 F-15EX 첫 훈련 수행 - 2021.05.26 (1) | 2021.06.06 |
미 해군, 6대의 AN/APG-79(V)4 AESA 레이다 시스템 주문 - 2021.05.14 (0) | 2021.05.19 |
B-21 폭격기의 능동형 방어책 - 2021.05.06 (3) | 2021.05.16 |
AARGM-ER의 미사일 유도 처리 카드 업그레이드에 개방형 시스템 적용 - 2021.05.12 (1) | 2021.05.16 |
댓글